ta-lib1 TA-Lib을 이용한 캔들스틱의 패턴인식 매번 이리저리 변수들을 바꿔서 백테스트를 하다 대충 우상향 하는 곡선을 뽑아내고 나온 결과물들을 곰곰히 살펴보면 결국엔 기존 전략들과 별반 차이가 없는 구조를 발견하게 되는 일이 많았다. 결국 어떤 스토리, 철학을 가지고 진입을 하느냐가 중요한 것 같은데 그런 측면에서 그동안 미루어왔던 캔들 유형에 따른 투자방법을 한번 생각해보기로 했다. 캔들 유형이 매우 다양해서 그 유형들의 특성들을 다 공부하고 이를 수식화하는 것은 단기간에 어려울 것같고 그냥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OHLC 자료를 TA-Lib을 이용해서 어떤 캔들 유형인지 판단, 해당 유형의 캔들이 출현하였을 때 단기적으로 투자한다고 가정할 경우 유형별 수익성, 복리투자를 가정한 자본, MDD 등을 산출해볼 것이다. 그런데 생각할수록 '패턴인식'이라니.. 2021. 7.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