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ETF4 코스닥ETF전략 운영성과 (2022년 2월) 1월보다는 시장의 변동성이 크지는 않아 조금은 아쉬웠다. 그런데 항상 그렇듯이 몇번의 거래일에서 대부분의 수익이 발생했다. 지난주에 새로운 세번째 전략을 운영하기 시작했는데 그 시기를 생각해보면 운이 좋았다. 3월부터는 새로운 전략 두개를 더 추가해서 총 5개의 전략을 동시에 운영해볼 생각이다. 2022. 2. 28. 코스닥ETF전략 운영성과 (2022년 1월) 2022년 1월은 두 전략 모두 거래가 있던 날이 단 5일에 불과할 정도로 엄청난 하락장이었다. 코스닥150레버리지가 30%가 넘게 하락하는 동안 수익을 거둔 것이 신기할 다름이다. 2022. 1. 28. 코스닥ETF전략 운영성과 (2021년 12월) 12월은 굉장히 좋은 편이었다 거래가 없던 날이 거의 없었는데 그렇게 앞뒤로 치고받다가 몇 번의 거래로 한 달 수익을 모두 달성해버렸다. 원래 과거 12개월, 6개월 단위로 전진 최적화 기간을 변경해오다가 귀차니즘이 발동되어 올해부터는 24개월로 고정하되, 기간 총수익 / MDD 가 가장 큰 보수적인 전략 위주로 세팅값을 변경했다. 그동안 테스트도 아니고 모의계좌도 아닌 실계좌, 실 운영환경에서 갈팡질팡 이런저런 테스트를 많이 해봤는데 이 방법이 심리적으로 나에게는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 같다. 며칠 남지 않은 2022년의 첫 달은 과연 어떨지... 2022. 1. 26. 코스닥ETF전략 축소 운영 중 9월이었나 10월이었나, 언제였더라... 국내선물 증거금율이 5%대에서 8~9%대로 오르면서 선물 계약수를 유지하려면 증거금이 더 필요했다. 3, 4번 전략을 중단하고 1, 2번 전략도 유동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코스닥ETF전략들도 백테스트시 2020년 3월을 제외하도록 수정을 했다. 다행히 1, 2번 전략들은 괜찮은 흐름인데 3, 4번은? ETF전략들을 한데 묶어서 남는 자금을 골고루 분산하려 했는데 기본예탁금이 존재하는 것도 문제고 애초에 하나의 자산에다가 잉여자금을 투자한다는 게 맞는 생각일까 2021. 11.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