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스템트레이딩

갭상승/하락과 종가와의 관계

by 오늘밤날다 2023. 2. 2.

 

예전에 어디선가 Open Range Breakout 등과 같은 전략들을 백테스트해 보면 당일 시가로 형성되는 갭의 방향에 따라서 상승과 하락의 포지션 진입의 승률이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본 적이 있다. 보수적인 관점에서 진입 포지션의 반대방향으로 갭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포지션 진입을 하지 말도록 제한을 걸어두는 것과 같은 형태로 전략을 만들 때 기준을 설정하기도 했다. 

 

지수의 성격에 따라 이 기준이 잘 들어맞는 경우가 있는 반면 유효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아마 코스피가 그 대표적인 예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 갭상승 후 종가가 시가보다 높을 경우와 반대로 갭하락 후 종가가 시가보다 낮을 확률에 대해서 여러 가지 지수들로 테스트를 해봤다. 

 

 

 

 

 

 

 

시계열로 본다면 각각의 지수들이 보여주는 패턴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왔을까?

 

 

 

 

 

장기적으로 봤을 때 각각의 경우에서 확률이 50%는 넘어줘야 의미있는 패턴이 아닌가 싶은데 코스피는 그 힘이 약해 보인다. 코스닥의 경우, 특히 코스닥 150이 그나마 괜찮은 수준이지만 아래에서 볼 미국 지수들과 비교하면 그 의미는 퇴색된다.

 

 

 

 

 

 

 

 

 

 

 

S&P500은 2006년 이전 자료들이 시가가 전일 종가와 동일한 날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시가와 관련된 데이터가 아무래도 온전하지 않은 것 같아서 제외했다. NASDAQ, S&P500, Dow Jones 모두 시계열 데이터 상에서 50%가 넘는 확률을 보여주고 있다. NASDAQ보다는 S&P500과 Dow Jones의 확률이 대략 7~8%가량 높은데 이게 맞는가 싶다. 

 

 

해외선물 지수들을 가지고 현지 낮 시간대에 형성된 가격들로 시가, 고가, 저가, 종가의 가격대를 만들어서 갭을 구하고 이를 전략들의 승률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해 보면 어떨까 싶다.